Day 11) 접근성을 고려한 이모티콘

2024. 12. 16. 21:07·웹 접근성

🎄  A11y Advent Calendar (번역) 11일차입니다. 전체 목록을 보고싶으시면 여기로 이동해주세요 :)

 

요즘 이모티콘은 어디에나 존재합니다. 단순히 귀엽고 재미있을 뿐 아니라, 글의 어조를 암시하는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이모티콘이 보편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접근성 측면에서는 여전히 한계가 존재합니다.

 

Léonie Watson이 접근성 있는 이모티콘에 대해 쓴 글에 따르면, 이모티콘은 스크린 리더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모티콘이 스크린 리더의 접근성 트리에서 이미지로 인식되지 않거나, 적절한 이름이 할당되지 않아 사용자가 그 의미를 알 수 없는 상황이 종종 발생합니다. 이는 반드시 개선해야 할 문제입니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role="img" 속성을 사용해 이모티콘을 이미지로 인식하게 하고, aria-label 속성을 통해 의미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span role="img" aria-label="Sparkly pink heart">💖</span>

 

이는 모든 사용자가 이모티콘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입니다. Adrian Roselli는 접근성 있는 이모티콘에 대해 논의하면서, Léonie Watson의 솔루션을 확장해 이모티콘 이름을 표시하는 작은 툴팁을 추가했습니다. 이 접근 방식은 이모티콘의 의미를 더욱 명확히 전달하며, 매우 유용한 방법입니다.

 

요런 툴팁을 말하는 것 같아요 :)

 

물론, 대부분의 웹 페이지는 수동으로 코딩되지 않기 때문에 이모티콘이 발견되면 라벨을 동적으로 삽입해야 하는 상황이 많습니다. 다행히도, 이모티콘을 찾는 것은 정규 표현식을 활용하면 비교적 쉬운 작업입니다.

 

그러나 이모티콘에 적절한 설명을 동적으로 할당하는 것은 더 복잡한 문제입니다. 이모티콘의 설명('CLDR short name'이라고도 함)을 검색하는 표준화된 방법이 현재로서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대안으로, emoji-short-name이나 emojis.json과 같은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들 패키지는 대부분의 이모티콘에 대해 영어 단축 이름에 접근할 수 있는 포괄적인 맵을 제공합니다. 다만, 이러한 패키지는 몇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1. 국제화 부족: 영어 외의 언어 지원이 제한적입니다.

2. 성능 비용: 데이터 로드나 맵핑 과정에서 성능 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방법은 이모티콘의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웹 페이지가 보다 포괄적이고 접근 가능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출처 Day 11) Emojis

'웹 접근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 13) 화면을 확대/축소할 때 접근성 고려하기  (2) 2024.12.16
Day 12) 접근성을 위해 가독성 높이기  (1) 2024.12.16
Day 10) ARIA란  (0) 2024.12.16
Day 9) 접근성을 고려한 Form 설계  (1) 2024.12.04
Day 8)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alt text)  (1) 2024.12.03
'웹 접근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ay 13) 화면을 확대/축소할 때 접근성 고려하기
  • Day 12) 접근성을 위해 가독성 높이기
  • Day 10) ARIA란
  • Day 9) 접근성을 고려한 Form 설계
권끼리마끼리
권끼리마끼리
  • 권끼리마끼리
    끼리마끼리의 개발노트
    권끼리마끼리
    • 분류 전체보기 (59)
      • 트러블슈팅 (5)
      • 프로젝트 개선 (5)
      • 강의노트 (19)
      • 웹 접근성 (27)
      • 웹개념 파보기 (3)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0
권끼리마끼리
Day 11) 접근성을 고려한 이모티콘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